구약성경 /이사야 Isaiah

이사야 개요

바이블엔명화 2016. 12. 4. 21:55




예언서 서론
< 구약의 예언서 연구 >

구약성경에서 예언서(예언자)의 위치는 매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모세시대로부터 내려오는 십계명과 각종 계명들은 왕정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했고 제사장들은 충실히 전통을 따라 말씀을 증거하고 제사를 드렸습니다. 이 각종 제사와 절기를 지키는 전통은 백성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며 하나님의 백성으로 함께 묶어주는 가장 큰 영적인 힘의 원천이었습니다. 그러나 국가의 제도가 바뀌면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모세시대로부터 여호수아와 16명의 사사들(350년간)에게 내려왔던 정치지도자와 제사장의 하나됨은 사무엘로서 마지막이 되었고 사울이 최초의 왕이 되면서 정치(왕)와 종교(제사)가 서로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정치적으로는 왕이 대표자였으나 이스라엘 백성의 심령에는 제사장의 선언이 더욱 권위가 있었습니다.

이때까지 선지자(예언자)라는 용어는 모세나 다른 사람에게도 종종 붙여지는 이름이었고 또한 그 의미도 앞일을 예측하는 사람 또는 훌륭한 영적 권위를 가진 사람들로만 이해되었습니다. 성경에는 성경에 책으로 기록된 선지자 외에 엄청나게 많은 선지자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엘닷,메닷-민 11:6, 발람-민 22:5, 무명선지자- 삿 6:8-10, 나단-삼하 7;2, 사독-삼하 15;27, 갓-삼하 24:11-14, 아히야- 왕상11:29, 무명선지자- 왕상20;35, 미가야- 왕상22;7-8, 잇도-대하 9:29, 스마야-대하12:5, 이사랴- 대하15;1-8, 하나니-대하16:7-10, 오뎃- 대하 28:9...등) * 선지자 무리, 생도 ( 삼상 10:5-6,왕하 2;3-5,15, 4;1)

한글 성경은 그들을 선지자( 先知者) 또는 선견자 ( 先見者)라고 번역을 하기도했는데 히브리어로 이들은 '나비'( 히브리어 나바- 즉 예언하다에서 온 말)라고도 불렸습니다. 그뜻은 황홀경에 취한 자라는 의미가 있는 것이었습니다다. 그러나 솔로몬 왕 이후 나라가 남북으로 분열되고 ( 남 유다, 북 이스라엘) 특히 외국의 침입( 블레셋, 앗수르, 바벨론)이 많아 지면서 유다와 이스라엘의 왕들은 꼭 성경의 원칙대로만 나라를 다스릴 수는 없다고 보아 외국과의 교류를 시작하는 가운데 외국의 이방우상이나 제도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백성들도 앞선 외국의 문물을 흉내내는 경향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제사장들은 발언권이 약화되고 힘을 잃어 왕의 비위를 맞추는 경향이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나라는 갈수록 부패하고 우상숭배가 만연하며 퇴폐풍조가 많아졌습니다.

이때 이 사회를 고쳐야한다는 사명을 받아 신앙적인 정의와 용기를 가지고 강직하고도 본격적인 의미의 예언자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분열왕국시대부터였습니다. ( 이사야- 말라기, 역사적 순서는 조금 다름)그들은 물론 이스라엘의 제사전통과 말씀에 철저히 입각했으나 그 말씀을 현실에 적용시켜 개혁을 외쳤습니다. 그들은 맹목적 전통준수가 아니라 그 말씀이 진정으로 의도하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가를 분별하고 진정으로 실천해야함을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전통적인 제사장의 대접을 받지 못하고 광야에서 거리에서 때로는 사람들의 미움을 받고 핍박을 받으면서도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야함을 선언했습니다. 그중 이 가운데 참 예언자 거짓 예언자의 싸움과 논쟁이 생기기도 했으며 진짜 예언, 가짜 예언의 논쟁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왕상 22:19-25 시드기야와 미가야의 싸움, 렘 23;17, 렘 28;9-17/ 예레미야와 하나냐의 싸움, 겔 13:1-4 등) 즉 정의와 진리를 추구하는 형태의 예언활동을 한 이들을 중심으로 성경은 예언자라고 부릅니다.

한문으로 예언자를 쓸 때 두가지로 구분합니다. 즉 예언( 預言prophecy)과 예언 ( 豫言 predict)인데 우리가 주로 쓰는 앞의 예언 (預言)은 말씀을 간직하여 전달한다는 의미가 있고 뒤의 예언 豫言은 미래의 일을 예측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물론 그들은 사회 투쟁가로서만 일했던 것이 아니라 영적체험으로 지금까지도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래를 예언하고( 특히 에스겔, 다니엘등..) 기적과 놀라운 신비체험을 모두가 경험했던 영적 신비체험가들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예언자들의 예언의 핵심은 역사와 현실 속에서의 하나님의 말씀의 구체화였습니다. 많은 이들이 예언자들의 역할을 미래를 점지하는 것으로만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들은 미래의 일보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간직하여 오늘 전한다는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은 때때로 전통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뜻과 상관이 없다고 생각될 때는 과감히 무시하고 폐지를 외쳤습니다. ( ( 아모스 5;21-27, 제사와 성가대의 무의미)

풍부한 영적체험과 함께 날카로운 정의의 의식을 가졌던 그들의 예언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미가서 6:8)
" THIS IS WHAT GOD ASKS OF YOU, onLY THIS; ACT JUSTLY, LOVE TENDERLY, WALK HUMBLY WITH YOUR GOD" ( MICAH 6:8)

< 구약 예언서의 일반적 분류 >

예 언 자 (책 제목) 활동연대(B.C) 주요 활동 내용 및 주제
<연대별 순서>

이 사 야 (66) 739-680 <5> 성전 환상으로 부름받음, 예루살렘 출신, 국제외교 예언, ( ISAIAH) 복음에 대한 풍부한 예언, 므낫세왕 때 순교
예 레 미 야(52) 627-585 < 9> 아나돗 출생, 제사장의 아들, 평생 독신, 20세때 소명받음
( JEREMIAH) 눈물의 선지자,애굽으로 끌려가 순교.
예레미야애가(5) 586 < > 예레미야가 부른 예루살렘 황폐에 대한 비가
( LAMENTATIONS) 바벨론에게 멸망당하는 이스라엘을 보며 지은 시편
에 스 겔(48) 593-570 <12> 제사장 출신, 바벨론 포로로 예언 시작, 환상을 많이 봄
( EZEKIEL) 해외(바벨론) 포로출신 예언자
다 니 엘(12) 606-534 <11> 포로출신이나 바벨론에서 특채 됨, 개인 예언자,
( DANIEL) 바벨론의 왕궁에서 신앙을 지킨 꿈의 예언자
호 세 아(14) 755-714 < 4> 사랑의 예언자, 이스라엘 백성의 회개 촉구,
( HOSEA) 가정을 통한 상징적 예언 선포
요 엘(3) 830 < 1> 브두엘의 아들,무서운 주의 날 예언, 성령예언
( JOEL) 황충(메뚜기 떼)에 대한 해석, 사도행전 예언
아 모 스(9) 760 <3> 평민출신, 정의의 예언자, 부패한 시대 꾸짖음
( AMOS) " 공법을 물같이 정의를 하수같이"(5;24)
오 바 댜(1) 587-586 <13?> 형제의 핏줄을 가진 에돔의 멸망에 대한 예언
( OBADIAH) 한 장으로 되어 있음
요 나(4) 800-760 <2> 비둘기라는 이름 뜻, 아밋대의 아들, 앗수르의 수도
( JONAH) 니느웨에서 복음을 전함, 큰 물고기 사건과 박넝쿨
미 가(8) 700-694 <6> 유다출신의 예언자, 특히 부패한 사회 , 정치,
( MICAH) 권력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예언
나 훔(3) 648-620 <7> 요나의 전도로 구원받았던 니느웨의 재 타락에 대한 NAHUM) 멸망의 선언 ( 요나보다 100년 후)
하 박 국(3) 612 < 10>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강력한 질문과 항의, 대답
( HABAKKUK) "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 ( 2:4)
스 바 냐(3) 630-627 <8> 왕족 출신, 끊임없던 우상숭배에 대한 꾸짖음,
( ZEPHANIAH) 회개 후 희망과 소망을 줌
학 개(2) 520 <14> 포로기 후의 예언자, 바벨론에서 스룹바벨과 귀국
( HAGGAI) 돌아온 고국에서 성전 재건을 외침
스 가 랴(14) 518 <15> 학개와 같은 시대의 예언자, 포로에서 돌아옴,
( ZECHARIAH) 성전재건을 외침, 믿음대로 살 것 요구
말 라 기(4) 400 <16> 포로기 후의 예언자, 때묻은 신앙의 각성을 요구
( MALACHI) 예배 준수, 십일조 생활등 강조

" 주님, 주께서 나를 속이셨으므로 내가 주께 속았습니다. 주께서 나보다 강하셔서 나를 이기셨으므로 내가 조롱거리가 되니 사람들이 나를 날마다 조롱합니다.... ' 이제는 주님을 말하지 않겠다 다시는 주의 이름으로 외치지 않겠다 하지만 그때마다 주의 말씀이 나의 심장 속에서 불처럼 타올라 뼛속에 까지 타들어가니 나는 견디다 못해 항복하고 맙니다. "
( 렘 20:7,9) < 새 번역 성경 >

이사야 1-66장

이사야는 남쪽 유다의 10번째 왕이었던 웃시야 시대에 아모스( 예언자가 아닌)의 아들로 예루살렘에서 출생했습니다. '이사야'라는 이름은 본디 히브리어로 '예사야후'또는 그 단축형인 '예사야'인데, 그 뜻은 '여호와는 구원이시다'로서 이 책의 내용을 잘 요약해주고 있습니다. ( 구원이라는 단어 28회 등장) 그는 예언자 아모스 (암 1:1, B.C.760-753) 호세아(호 1;1, B.C.755-710)와 미가 (1;1, B.C. 735-710)와 같은 시대의 예언자였습니다.
웃시야 왕이 죽던 해( B.C. 739 사 6;1)에 이사야는 유명한 성전예배의 환상을 통해 선지자로 소명( 召命 CALLING 부르심) 받고 "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Here am I, Send me!" 라고 서원을 합니다.( 사 6:1-13)

그는 남 유다의 가장 위대한 선지자요 또한 메시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 救贖 使役)에 대한 많은 예언을 남겨서 복음의 예언자라고도 불리웁니다. 신약성경에는 이사야의 이름을 직접 인용한 곳이 21회나 나타나며 예수님의 탄생에 대한 예언 등 30회 이상 인용되고 있습니다.
그에게는 아내(여선지?=히,원,하느비아 8:3) 스알아숩( 남은 자가 돌아옴 이라는 뜻)과 마헬살렐 하스바스 ('약탈이 신속히 이름'이라는 뜻)라는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 사 7:3; 8:3)

구약 성경의 사도바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사야는 왕족들과 가까이 지냈고 뛰어난 국제감각과 풍부한 어휘를 구사한 점으로 보아 많은 교육을 받은 듯합니다. 그러나 그에게도 하나님의 뜻을 따라 3년 동안 벌거벗고 신발도 벗어버린 채 예언할만할 정열이 있었습니다.( 사 20:2-3 )
이사야는 그후 약 680년경 까지 4명의 왕 요담 왕(739-731), 아하스왕( 731-716, 16년), 히스기야 왕 (유대 역사에서 가장 탁월했던 왕- 715-687), 므낫세왕 ( 남유대에서 가장 악했던 왕- 687-642)의 4대에 걸쳐 60여년 동안의 긴 세월동안 예언했습니다.
그는 주로 국제외교와 정치문제에 대해서 상담 및 지도자의 역할을 했고 중심 활동지는 예루살렘 이었습니다. 특히 이사야는 히스기야 왕때 앗수르의 공격을 기도하여 18만 5천 명을 멸망시키기는 기적 사건도 이루어 냈고( 사 37장 =왕하 19장) 히스기야의 목숨을 15년 연장시킨 예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 왕하 18장 = 사 38장)

이사야( 특히 13-39장까지의 이해/ 바벨론, 앗수르, 블레셋, 모압,다메섹, 사마리아,구스,애굽, 에돔, 아리비아,두로에 대한 예언등..)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당시 국제상황은 앗수르가 가장 강대국이었고 애굽은 서서히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유다는 앗수르와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러나 남쪽 유다와 앗수르와의 사이가 항상 좋은 것 만은 아니었습니다. 남 유다와 동맹을 맺은 앗수르는 결국 북 이스라엘을 B.C 722년 멸망시켰습니다. 그 사이에 바벨론의 세력이 일어 나기 시작했을 때 유다도 앗수르의 지배에서 벗어나고 싶었으나 앗수르 장군 산헤립의 공격을 받고 위기를 넘기기도 했습니다. ( 사 37장 = 왕하 19장)
근본적으로 예언자 이사야의 메시지는 세상나라들의 눈치를 보는 외교정책으로 나라의 안정을 취하려하지 말자는 것이었습니다. 오직 하나님께 돌아가 하나님만 의지하는 신앙으로 온 백성이 뭉치기만 한다면 소망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현실을 중요시하는 정치가들과 신앙의 본질을 중요시하는 예언자 이사야와의 갈등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런 견해 차로 그는 핍박을 받기도하고 오해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에게는 오늘의 피곤한 현실을 넘어서 영원한 소망이 되시는 메시야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위대한 신앙이 있었으며 사자들이 어린 양과 뛰놀고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평화의 나라가 반드시 임하리라는 위대하고 아름다운 꿈이 있었습니다. ( 사 11장, 35장, 60장) 위대한 시인이요 선지자인 이사야는 진지하고 타협할 줄 모르며 인정이 넘쳤습니다. 그리고 국제적인 상황을 보는 지식과 판단력과 감각과 안목이 대단히 뛰어난 예언자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시대는 그의 예언과 이상을 다 받아들이지는 못했습니다. 유대인들의 전통적인 지혜의 책인 탈무드에 따르면 남유다의 가장 악한 14대 왕 므낫세의 통치기간 중 톱으로 순교당함으로 그의 위대한 생애를 마치고 하나님께 돌아갔습니다. ( 히 11 : 37)

2. 이사야의 열정


이사야는 성경 전체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처음 서른 아홉장은 (1-39장) 비교적 39권의 구약성경처럼 남쪽 유다의 죄 뿐 아니라 북 이스라엘, 그리고 세계 각국의 부도덕과 우상숭배에 대한 심판으로 가득 차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에 나타나 있는 이스라엘과 각 나라에 대한 심판의 예언은 오늘 다양한 환경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신 예언이며 경고로 받아들여야합니다. 그러나 나머지 스물 일곱권 (40장 -66장)은 비교적 27권의 신약 성경처럼 소망의 메시지를 선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타락하고 범죄했지만 용서와 소망의 길을 열어 놓으셨으며 무엇보다도 곧 메시야가 오셔서 십자가를 지시고 죄를 사하시며 인류를 구원하시리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희망의 예언은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고 하나님의 용서와 사랑에 응답하는 귀한 믿음의 삶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이사야의 열정

부르심-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6;1-8) 벗은 몸의 예언(20;1-3) 은혜를 베푸소서(33:2) 학자의 혀( 50;4-6) 좋은 소식(52:7-10) 기도-주여 돌아오소서(63;15-17) 기도-주는 우리 아버지시니이다(64:8-9)

* 하나님의 초청
하늘이여 들으라(1:2-12) 우리가 변론하자( 1:18-23) 일광과 운무 (18:4)
돌아오라( 44:1-3) 창조자 하나님( 45:1-7) 나를 들으라(48:12-13) 목마른 자들아 ( 55:1-9)

* 하나님의 심판
아첨하는 시온의 딸(3;16-26) 여호와의 날(3:9-12) 나와 포도원 사이에 판단하라(5:1-4) 거짓 끈으로 죄악의 수레를 끄는 자(5:18-22) 불의한 정치인(10:1-3) 도끼가 자랑함같도다-앗수르(10:15) 루시퍼야-바벨론(14:12-14) 취했구나-애굽 (19:14-15) 죽어도 못값는 죄(22:12-14) 공인가 못인가(22:15-25) 잊어버린바 된 기생-두로(23:15-18) 말씀을 들어라(29:9-12) 지도자의 타락(28:7-13) 말씀을 정직히 받아들이라(29:10-13) 여호와의 법을 따르라(30:8-11) 우상을 버리라(41:6-7) 슬프다 ( 48:18-19) 주일을 지키라(56:1-7) 진정한 금식을 하라( 58:1-12) 형식적 제사를 버리라(66;1-4)

* 하나님의 사랑
창을 쳐서 보습으로(2:4) 심판의 영, 소멸의 영(4:3-4) 남아있는 그루터기( 6;13) 임마누엘(7;14) 한 아기(9:6-7) 이새의 줄기(11:1-10) 구원의 우물물(12:1-6) 눈물을 씻기심(25:4-8) 심지가 견고한 자(26:1-4) 시체들아 일어나라(26:19) 상처를 싸매심 (30:26) 성신을 부어주리니(32:15) 광야가 변하여(35:1-10) 복역의 때가 끝났다. (40:1-8)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 40:27-31) 임마누엘(42:1-9) 야곱아 내 사랑아 (43:1-16) 옛적일을 생각지 말라( 43:18-21) 하늘이여 노래하라( 49:8-13) 손바닥에 새긴 이름(49:14-18)슬픔과 탄식이 달아나리라(51:7-12) 그가 찔림은 (53:1-12) 휘장을 넓게 펴라( 54:1-2) 의인의 죽음(57:1-2) 내가 고쳐주리라( 57:18-21)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60;1-3, 15-20)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시며( 61:1-3) 쁄라, 헵시바( 62:1-4) 보라 내가 새 창조를 하리라(65;17-25)
 

[출처] 이사야|작성자 CYAN 물빛


'구약성경 > 이사야 Isaiah '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  (0) 2016.05.14
65  (0) 2016.05.14
64  (0) 2016.05.14
63  (0) 2016.05.14
62  (0) 2016.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