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 /민수기 Numbers

민수기 개요

바이블엔명화 2016. 12. 4. 21:42





이스라엘 백성들이 언약의 땅 가나안을 향해 출애굽을 감행한 시점과 장소는 B.C. 1446년 1월 15일 고센 지역 라암셋(Rameses)에서 였습니다(출 12:37).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후 2달만에 시내 산에 도착했습니다(B.C. 1446년 3월 15일, 출 19:1).

그리고 시내산에서 성막 계시와 십계명을 비롯한 여러 가지 규례들을 지시받았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출애굽 2년(B.C. 1445년) 1월 1일에 성막을 건립했습니다(출 40:17).

그리고 성막 건립 후 곧 레위기 규례가 주어졌습니다. 시기상 이 규례들은 출애굽 제 2년 1월에 주어진 것입니다.

이어 민수기 규례가 출애굽 제 2년 2월 1일부터 주어지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이 모든 규례들은 시내산 기슭에서 주어 졌거나 혹은 일어난 사건들 이었습니다. 마침내 이스라엘 백성들은 출애굽 제 2년(B.C. 1445년) 2월 20일에 시내 산을 떠났습니다. 이때는 시내 산에 도착한 지 11개월 닷새가 지난 뒤였습니다(10:11).

원래 히브리어로 쓰여진 구약 성경의 원문 제목은 바 미드바르(광야에서 rB;d]m)라는 민수기 1장 첫 부분의 단어인데 주전 약 280-150년 사이에 알렉산드리아 및 애굽에서 70인의 유대 학자들이 히브리어를 그 당시 세계의 공용어인 헬라어로 번역을 할 당시에 " 광야"(미드바르)i를 ,헬라어의 숫자를 의미하는"아리트모이"라고 옮겨 적었습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그 백성들을 계수(計數)하라고 하심을 따라 인구 조사를 하는 내용이 민수기 1장, 2장, 3장 4장, 26장에서 나오기 때문이고 영어 번역 성경에서는 NUMBERS로 번역했습니다.

민수기는 광야에서 배운 신앙의 깊은 교훈들이 담겨있는 책입니다.

출애굽을 했지만 아직 영적으로 성숙하지 못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1년 2개월 동안 머물러 있던 시내산에서 떠나 (출애굽기와 레위기를 거처 민수기 10장 11절에서야) 처음으로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는 행군을 시작합니다.
(출애굽에서 시내산까지 2달, 시내산에서 머물러 성막을 세운 기간 약 8개월 15일, 가나안으로 가기 위해 숫자를 세고 정비하는 시간 2개월 20일 도합 1년 보름이 지난 후 가나안으로 출발함) 그리고 그들은 3일만에(민 13:33) 가나안에 가까운 가데스 바네아에 도착했습니다.

그곳에서 모세는 가나안 땅을 탐지하기 위해 각 지파 대표 12명으로 40일간의 정탐을 보냅니다. 그러나 그 40일간의 정탐은 이스라엘에게는 40년의 형벌로 변하는 운명의 정탐이 되고 말았습니다. ( 민 14:33-34) 그리고 10일이면 갈 수 있는 거리를 40년 동안 방황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이스라엘 백성에게 바라시는 믿음과 이스라엘 백성의 영적 수준과는 큰 차이가 났습니다. 하나님은 이들이 '여호와의 군대'(출 12:41)가 되기를 기대했으나 이들은 아직도 '중다한 잡족'( 출 12:38)에 불과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아직 하나님이 원하시는 믿음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백성들은 하나님과 교제하는 경험이 부족한데다가 현실이 힘드니 모세와 아론을 바라보며 인간의 목소리들을 높여 보이는 것마다 의심하고 불평하고 아우성을 쳤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고자 했던 출애굽의 목표가 완전히 무너저 내리는 가장 치명적인 실수를 범하게 됩니다.

가나안을 정탐하고 돌아왔던 사람들 중 12명중 10명에 의해 주장된 "할 수 없다"고 부정적인 판단을 내린 대가는 무섭고도 컸습니다. 민수기 14장은 이들이 모두 영적 사형선고를 당하는 장면입니다. 비로소 그들은 후회하고 몸부림을 치면서 하나님을 믿는 법을 알게 되지만 돌이킬 수 없는 40년의 저주가 주어진 뒤였습니다. 그 대가는 길고도 길었습니다.

이들의 광야생활 목표는 이제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바로 알고 인격과 성품과 신앙이 거듭나는 훈련을 받는 것이 되었습니다. 이것이 '광야교회'(행 7:38)였습니다.

민수기는 오늘날의 기독교인들이 삶의 광야 속에서 진실로 하나님만을 믿고 의지하느냐 또 얼마냐 순종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던지는 책입니다. 민수기의 별명이 불평기라는 말은 얼마나 우리가 불평으로 죄를 짓기 쉬운가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민수기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예수님의 생애에 대한 신비한 예언의 책이기도 합니다. 특히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불뱀을 만나고 놋뱀으로 구원받았던 사건을 예수님께서는 그 유명한 요한복음 3;16에서 인용하셨고 민수기의 구절 구절들이 예수님에 대한 상징적 예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3:14)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3:15)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요 3:16)

민 수 기 각 장별 주요제목 (1-36장)

1장 1차 인구 조사 2장 각 지파의 배진
3장 레위인의 임무와 지위,인구조사 4장 레위 지파의 가문별 업무분담
5장 성결의 요구 6장 나실인의 규례
7장 성막 봉헌 예물 8장 레위인의 봉헌
9장 광야의 첫 유월절 10장 신호 나팔과 시내산 출발
11장 만나에 싫증난 백성들의 불평 12장 미리암과 아론의 비방
13장 정탐군의 파송 14장 약속의 땅에 들어가지 못할자
15장 입국 이후의 제사법 16장 고라 당의 반역
17장 싹이 난 지팡이 18장 제사장과 레위인의 분깃
19장 정결식 규례 20장 므리바(다툼) 모세의 실수
21장 불뱀과 놋뱀 22장 발람의 나귀
23장 발람의 예언歌 24장 발람의 축복노래
25장 음행과 우상숭배 26장 2차 인구조사
27장 여자의 상속법 28장 후계자 여호수아
29장 4대 절기 규례 30장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 규례
31장 서원 규례 32장 미디안 정복
33장 두 지파 반의 요단 동편 요구 34장 출애굽 여정회고
35장 레위인의 성읍과 도피성 36장 여자의 상속법

[출처] 민수기|작성자 CYAN 물빛


'구약성경 > 민수기 Number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0) 2016.05.13
35  (0) 2016.05.13
34  (0) 2016.05.13
33  (0) 2016.05.13
32  (0) 2016.05.13